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 평화의 섬 제주 지키기 평화올레와 현장예배
1. 제주 해군기지 건설의 문제점
(1) 평화의 섬 제주와 ‘군사기지’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 제주도 서귀포 해안에 위치한 강정마을은 세계적 희귀종과 멸종위기종 동식물이 다수 발견됨에 따라 유네스코가 지정한 생물권 보전지역입니다. 또한 문화재청이 지정한 문화재보호구역(천연기념물421호 및 442호)이며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생태보전지역이기도 합니다. 바다 갈라짐 현상이 하루에 두 번씩 일어나 ‘섬 속의 섬’으로 불리며, 제주도에서 한라산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곳으로 인정받고 있고, 은어 서식지인 강정천이 흐르며, 고래상어가 사는 절대보전지역이기도 한 아름다운 이 마을은 2005년 정부가 지정한 ‘세계 평화의 섬’입니다. - 제주도 ‘평화의 섬’과 ‘군사 기지’는 양립할 수 없습니다.
(2) 마을 공동체를 파괴하는 ‘군사기지’, 더 이상 안 됩니다.
- 2007년 8월에 실시된 주민투표에서 94%에 달하는 주민들이 해군 기지 유치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마을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07년 12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는 ‘관광 미항 기능의 세계적인 군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2009년 12월 제주도의회는 ‘강정지역 절대보전지역 변경동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010년 6?2 지방선거로 당선된 우근민 도지사가 해군 기지 반대 입장을 철회하면서 공사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으며 정부는 반대 주민들에게 회유와 압박을 자행했습니다. - 대추리에서, 무건리에서 미군기지 확장으로 고향을 빼앗겨야 했던 주민들처럼 강정마을 주민들도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처지에 놓이고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평화롭기만 하던 마을 공동체가 파괴되고 있습니다.
(3) 한반도 평화를 위해 ‘군사기지’ 건설을 허용할 수 없습니다.
- 해군의 계획에 따르면 제주도에 건설될 해군기지에는 미국의 이지스함과 잠수함, 항공모함도 정박할 수 있도록 대규모의 부두를 만들 예정입니다. 이것은 제주 해군기지가 미군 해상MD의 전개를 위한 전초기지가 되고,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해양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에 활용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 해역에서 군사적 패권을 겨루는 마당에 제주에 미군이 사용하는 해군기지가 들어서면 제주도는 동북아 분쟁지역이 되고, 중미 패권다툼의 볼모가 될 것입니다. - 이는 한반도 평화협정 실현을 위한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며 제주 뿐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를 파괴하는 일입니다. 2. 강정마을 주민들의 투쟁에 함께 해야 합니다.
- 지난 3월 15일, 제주도의회는 2009년 12월 한나라당이 중심이 되어 통과시킨 ‘강정지역 절대보전지역 변경동의안’을 취소의결안 조례를 의결했습니다. - 3월 31일 주민들은 전열을 정비하고 반대주민대책위를 결성했으며 공사현장 감시, 1인 시위, 차량 저지 등 투쟁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 생명평화탁발순례단이 3월 1일부터 100일 강정순례활동에 들어갔으며 평통사, ‘개척자’ 등 평화단체들이 주민들과 함께 투쟁에 나서고 영화배우 김여진 씨 등 각계각층의 지지방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마을 주민이자 영화평론가인 양윤모 교수가 공사를 저지하다 연행, 구속되자 옥중 단식에 들어갔으며 신구범 전 제주도지사도 동조단식을 진행했습니다.
- 이에 강정마을 주민들의 투쟁을 지지하고 지원하며 함께 하는 활동이 절실하게 요구됩니다. 현재 야5당이 국회차원의 진상조사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국민적인 힘이 더 결집되면 해군기지 건설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3. 제주 강정마을에서 평화예배를 드립시다.
(1) 일시 : 2011년 6월 17일(금)~19일(일) (2) 참가예상 규모 : 30명 이상
(3) 주최 : 정의 평화를 위한 기독인연대, 향린교회 통일선교위원회 (4) 주관 : 향린교회 통일선교위원회 (연락 박석분 통일선교위원장 010-7963-4311, 한송이 기독인연대 사무국장 010-8307-2531) (5) 프로그램(변경될 수 있습니다.) - 6월 17일(금) : 마을주민과 인사나누기 - 6월 18일(토) ? 7코스(왜돌개~강정포구~강정마을 및 공사현장) 평화올레 ? 제주의 역사와 강정마을 해군기지 문제점 강연회(신구범 전 제주도지사) ? 촛불문화제 : 촌극 및 노래, 영상 상영 등 - 6월 19일(일) : 상징적인 곳에서 평화기원예배 * 고경심 장로님이 제안하는 일정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5) 참가 신청 : 5월 29일까지(비행기표 예약관계상)
(6) 참가비 : 비행기삯 15만원 + 숙식비 5만원 = 20만원(비행기표를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구입할 경우 5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