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집행위원회에서 논의했던 제목건의 활동계획 추진방안을 옮겨보려고 합니다. 어느 정도 일정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하는데 부족함이 많음을 깨닫게 됩니다. 다른 손발을 기다리기 보다 우선 제 나름의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니고 싶은 교회 안내’(가칭) 활동 추진방안 2010. 3. 16. 1. 활동 목표 - 교회의 많은 문제점 때문에 교회를 옮기고자 하는 평신도들의 요구 높아짐 - 평신도들의 요구를 해결해 주어야 할 기독인연대의 정체성 확보 활동 - 다니고 싶은 교회를 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기독인연대 외연 확장 도모 - 교회개혁 운동, 교회 연대의 중심 축을 형성
2. 추진활동 절차
* 평가기준 설정 -> 교회리스트 작성 -> 자료 수집 -> 교회 탐방 -> 교회보고서 작성 -> 공동 검토 -> 발표 -> 홈페이지 등록 1) 평가기준 설정과 자료 수집 기 준 | 자료 내용 | - 우리의 예배 | 예배 순서지, 공동의회 자료집 | - 민주적 운영 | 정관, 재정보고 자료 | - 사회적 선교 | 동의회 자료집, 홈페이지 |
* 교회리스트 작성 참고자료 : 뉴스앤조이, CBS방송, 세상에는 이런교회도 있다(도서) 2) 보고서 작성 - 금년중 45~50 교회에 대한 보고서 작성 (분기별 15개 교회) - 집행위원별 3건 * 15명 = 45개 교회 - 평가기준에 따라 자료를 참고하고 탐방하여 면담한 내용으로 작성 - 보고서 양식은 추후 작성하여 협의 3) 발표
- 작성된 보고서를 분기별로 집행위원회에서 함께 검토/협의 - 최종 선정된 교회들을 분기별로 발표 (기자회견 방식 추진) - 홈페이지 등록하고 대외적으로 홍보 3. 일정
월별 | 활동 내역 | 비고 | - 3월 | - 평가기준 설정 - 보고서 양식 작성 |
| - 4~6월 | - 교회리스트 작성 (4월) -> 50개 교회 - 자료 수집 및 교회 탐방(15개 교회) - 보고서 작성(5월) 및 검토/협의(6월초) - 1차 발표(6월 중순) 및 등록 | | - 7~12월 | - 분기별로 같은 일정으로 진행 | |
4. 예상되는 문제점
- 검토 대상 교회를 평가할 자료의 부족/부재 - 대상 교회와 사전에 협의 여부(자료 협조 측면) - 최종 선정될 교회가 너무 적지 않을까 (평가기준의 문제점) - 특정지역(수도권) 중심으로 먼저 할 것인지 아니면 전국적으로 동시에 5. 검토 사항
- 활동을 함께 할 단체/기관 (교회개혁실천연대 등) - 발표 방식 - 다양한 자료 수집 방식/채널 확보 |